티스토리에서 작성한 글들을 보관할수 있는 장소가 크게 두 곳이 있다. 바로, '페이지'와 '카테고리' 이다. 티스토리를 처음시작했을 당시, 카테고리를 만들고 해당카테고리에 쓴 글들을 저장해 나아갔고, 왜 '페이지' 가 필요한지 이유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하지만 포스팅이 하나, 둘 씩 늘어가면서 내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경계가 점점 불분명한 포스팅도 몇개씩 늘어나기 시작했다. 또는, 하나의 카테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스토리가 있는 글들이 섞여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육아' 라는 카테고리 안에서도, '육아 일상' 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 수도 있고, '육아 관련 물품' 에 관해서 포스팅을 할 수 있다. 당연히, 두 가지의 약간 다른 성격의 포스팅이 같은 카테고리안에서 뒤죽박죽 섞이게 된다. 한가지 드는 의문은 다음과 같다: '내가 포스팅한 글들을 스토리 별로 묶어서 독자들에게 제공할수 없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 시작하는 순간 당신은 '페이지' 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당신은 '페이지' 를 하나의 책 이름과 같다고 생각할 수 있고, 페이지 안에서의 각챕터들을 기존 글들로 다시 재배열 시킴으로써, 독자들이 좀더 시간순서대로 그리고 스토리 별로 묶어 보기 편하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실 나무는, 나무가 보기 편하기 위해서 페이지를 사용하고 있는듯 하다.
정리를 해보면, 티스토리의 오른쪽 카테고리는, '각 포스팅들의 대분류' 로 이루어준 글들의 집합으로 포스팅을 올리는곳이고, 라고 생각하면 되고, 페이지는 하나의 '책' 과 같은 이미올려진 포스팅들을 다시 짜집기 할수 있는 장소 라고 생각하면 된다. 페이지에서의 포스팅은 단한개 밖에 불가능하지만, 그 안에서 기존 포스팅들을 짜집기 할 수 있다.
나무의 티스토리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예시를 한번 확인해보자:
나무의 포스팅을 스토리별로 재배열하자면, 1) 육아노트, 2) 일상, 3) 투자, 4) 공대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포스팅, 5) 여행. 이렇게 다섯권의 책을 쓴다고 생각하고 페이지를 만들었다. 물론, 일상같은 경우에는 일상-2024, 일상-2025와 같이 연도별로 페이지를 다시 만들까도 생각중인다.
자 그러면 새로운 페이지를 한개 써보자. 페이지를 생성하려면, 관리자모드-> 콘텐츠->페이지관리-> (우측상단에) 페이지쓰기를 클릭 하게되면 다음과 같은 빈파일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페이지는 그냥 하나의 페이지포스팅을 만든다고 생각할 수 있다. 페이지에서도 새로운 컨텐츠와 포스팅을 해도 된다. 당연히 페이지 한장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여러분의 몫이다. 다만 그 페이지가 홈페이지 상단에 매우 크게 위치할만큼 중요한 페이지 인가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페이지 제목은, 당신이 이 책을 한권쓴다면 어떤 제목으로 할까? 라는 생각으로 페이지의 제목을 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해당 페이지에서 시간순서든 공간순서든 당신이 원하는 기준을 잡고, 그 기준에 맞게 블로그 포스팅을 한데 모으면 된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면 (굉장히 간단한 예시고, 꾸미는건 블로거 여러분들의 입맛에 맞게),
대주제를 하나 놓고, 그아래에 대주제에 맞는 포스팅 링크를 붙혀넣는다.
여기서 중요한건 포스팅 링크를 붙혀넣고 엔터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이 썸네일미리보기와 함께 더 Fancy한 링크를 만들어 준다.
이미 썸네일에 링크가 들어있으므로, 블로그 주소는 지워주면된다. 다른 포스팅들도 가져와서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하나의 책, 즉 페이지가 완성된다.
나무의 페이지가 완벽하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나무의 페이지를 참고하여 일단은 시작으로 만들어보면 되지않을까 생각난다. 페이지에 스토리별로 모아놓으면 독자들이 페이지에서 좀더 글들을 보기쉽게 검색하고 좀더 포스팅을 효과적으로 볼수 있게 도와줄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지금까지 티스토리의 페이지와 카테고리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평소에 글들을 잘 정리해 놓는 습관을 다져서, 멀리멀리 오래오래 포스팅을 할수 있도록 해보자!! 화이팅.
공대생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대학원에서 살아남기 대학원에서 살아남기 (3)--첫 번째 연구주제 선정 방법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을 한다, 아니 생각을 해야한다. ‘내 인생의 첫 번째 연구 주제는 무엇으로
walkingtree.tistory.com
나무의 일상
나무의 일상의 노트 모음. 언젠가 죽기전에 한번 들춰보면 추억이 되려나 :)나무의 일상[2025년도 일상] 차 없는 실리콘밸리 엔지니어 가족의 느린 주말 일상 (with 2살배기 딸아이)주말에는 일을
walkingtree.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쇼츠 썸네일 변경하는법. (2) | 2025.04.04 |
---|---|
어도비 Firefly로 1분만에 시네마그래프 (looping가능한 애니메이션) 만드는 방법(feat. 유튜브에 사용되는 background 화면) (0) | 2025.03.28 |
슬랙에서 유저를 채널에서 내보내는 (지우는) 방법. (0) | 2025.03.20 |
미국에서 깁스를 받으면 얼마가 나올까? (아기 깁스) (0) | 2025.03.18 |
어도비 프리미어로 비디오 업샘플링 (업스케일링) 하는방법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