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버킷리스트11

intro 허접 유튜브 일지 10화: 실패를 인정후 채널삭제.., 다음을 기약하며. 이전화 [9화 링크] 에서는 마지막 조회수가 감소하는 추세에서 마지막 발악을 했었다.. 채널을 계속 가지고가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이 된다. 객관적으로 보면, 즉, 수치상으로는 채널은 이미 망했다. 100명의 구독자를 모으긴했으나, 유효조회수와 평균조회율을 보고있으면 어떤 초보라도 현재의 채널이 잘못됨을 알수있었다. 이탈율은 30프로미만, 평균조회율은 70프로이고 갈수록 줄어드는 느낌이다. 마지막발악으로 영상 업로드를 남발하였으나, 오히려독이되어 더이상 알고리즘이 돌아가지 않는 사태가 되었다.첫 채널이었던 만큼 실패를 인정하기는 쉽지않으나, 그리고 또 구독자 130명을 한순간에 날려버리는건 눈물나는일이나 일다는 채널을 접은뒤 다시 시도하기로했다. 사실 채널한개를 운영하면서 한 5개이상의 서브채널로 뭔가.. 2025. 6. 2.
intro 초보 유튜버 쇼츠 운영일지 -9화- 유튜브를 접어...말어. 조회수는 오를 생각을 안하는데, 구독자는 그래도 조금씩 계속 오르고. 작은 허접 유튜브 채널을 운영해보고 있다 [링크]. 얼마전에 구독자 수 100명을 찍었다. 사실 어떻게 찍었는지도 모르겠다. 계속 뭔가 물량으로 밀어 붙혀가면서 구독자가 한명씩 얻어걸리길 바랬었던것같다. 뭔가 전문적으로 영상을 만드는것도 아니었고 영상에 대한 확신도 없는 상태였으나, 어째저째 계속 쇼츠를 업로드하면서 구독자들이 모이긴모인다. 영상 162개에 구독자 127명 이면 이해가 갈 것이다. 그래도 지옥의 0~100명 구독자 모으기를 해보았으니, 어느정도 유튜브라는 거대한 바위에 계란을 좀 던져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또 그러는 중에 실제로 공부가 굉장히 많이 되었다. 사람들이 어떤 영상을 좋아하는지,,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어떤 수치가 중요한지, 어떻게하면 3초이탈을 막는지...등의 공부가 많이.. 2025. 5. 30.
intro 초보 유튜버 쇼츠 운영일지 8화: 드디어 구독자 100명을 모았다. 10초 미만 숏폼으로.. 현재 나무가 시도해보고 있는 유튜브채널은 100k zzoomm [링크] 이라는곳이다. 그리고 드.디.어. 구독자 100명을 모아봤다. 대략 두달정도 걸린것같다. 어휴,,, 어떤영상을 만들어야할지, 컨텐츠를만들어야할지, 모르겠어서 그냥 이것저것 마구잡이로 만들어보다가 어쩌다 걸려서 100명을 모은것같다. AI로 뭔가 해보겠다고 시작은했으나, 아직은 제대로 정형화된것같지 않다. 뭔가, 각영상별 조회수는 줄어만가고, 구독자가 늘어나는 속도는 비슷하거나 늦어져가는것만 같다. 그냥 혼자만의 조급함일 수 있다. 운이 좋으면 하루에 6명 혹은 8명까지도 구독자가 생기기도 하는데, 그냥 그건 알고리즘을 타다가 개인의 취향에 맞으면 구독자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 아직, 내 채널의 브랜드가 좋아서 구독을 하는것같아보이지는.. 2025. 5. 23.
intro 유튜브 쇼츠기록 7화, 시리즈를 만들려다, 알고리즘은 다시 심정지.. 나무가 시도해보고있는 채널은 여기다 [100k zzoomm].이전글 6화 [관련글 링크] 에서는 영상을 대거 삭제한 이후 알고리즘의 심폐소생을 한 기록을 남기었다. 아... 어떻게 소생을 시켜놨는데,,근데,,,아.... 다시 심정지를 당해버렸다. 이유는 이러했다. 한가지 주제로만 계속 비슷한 스토리로 계속 업로드를 하는걸 꽤나 지루해 하는 나무이기에 이제 세계관을 넓혀보고자 약간의 다른 컨셉과 기법으로 짧은 영상을 만들어 올려보기 시작했다. 일단 컨셉을만들어 올리기 시작했다. 하,,, 또 결과는 나만 재밌는 영상이 되버렸다. 반응은 싸늘, 이탈율은 급증, 좋아요는 없고, ㅋㅋ.. 댓글도 없고, 그냥 무관심이 더비참한 그런상황. 알고리즘도 이걸 인지한듯, 또 알고리즘의 가동을 멈췄다. 다시 심정지가 왔다... 2025. 5. 20.
intro 유튜브 운영기록 6부: 알고리즘 심폐소생 성공과 태그의 중요성. (feat. 많은 영상을 지워도 괜찮은가?)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기록해 놓고자 한다. 이전 포스팅 (5부 링크) 에서는 채널의 선택과 집중을 위해 기존에 올렸던 영상들의 95프로를 삭제하고, 그 후에 심정지가 온 알고리즘의 심폐소생을 시도했던 내용에 대해 노트를 남겨놓았다. 5부에서는 그 심폐소생의 시도들이 성공했는지 불분명했었다. 이러저러 시도를 해보았으나, 3일..4일..이 지나도 알고리즘은 돌아올생각을 안했었다. 일단,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점을 우선 집고 넘어가고 싶다.그래서, 영상을 지워도 괜찮은가? 지워도 채널에 영향이 없는가? 실제로 80개의 영상을 지워본 결과 얻은 결론이다. 일단 영상을 지우면, 어떤 식으로든 채널에 영향이 가게 되어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다. 기존 영상을 통해 분석해 놓은 사용자 정보들이 전부다.. 2025. 5. 10.
intro 유튜브쇼츠 운영기록 (5부): 채널영상 대거 삭제, 알고리즘 심정지와 심폐소생.. 4부에서는 2차관문을 통과한 경험에 대한 포스팅하였다 [관련글: 4부 2차관문을 통과해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널의 영상을 뒤엎은 이야기와 알고리즘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또 어떻게 알고리즘을 심폐소생했는지,,, 에대한 노트를 공유해보고자한다. 그리고 비슷한주제 다른영상을 올렸을때도 알고리즘이 좋아한다고 판단한뒤에, 고민이 계속된다. '아,, 채널의 컨셉을 전부뒤엎고 하나에 집중을 해야하나'. 나무는 고민할 시간에 그냥 해보는 스타일이라, 그냥 해보기로 한다. 어차피 다른 영상들중에 떡상이 이루어진 영상이 없으니,, 살짝미련은 있으나 일관된 스타일을 선호하여 80개를 전부 삭제하였다. 유튜브 영상들을 뒤적여보면, 누구는 영상을 지우면 큰일난다, 누구는 별로인 영상을 지워야지 채널점수가 올라간다 등.. 2025. 5. 3.
intro 유튜브 (쇼츠) 를 시작했다.. 4부: 2차관문을 통과해 보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유튜브 쇼츠 도전기 3주차: '3초룰' 에 대해 포스팅해보았다. 4주차에 대한 기록을 이어간다. 4주차: 2차관문을 통과해보다 4주차가 되어서야,,, 이탈율이 적어야지 알고리즘이 제대로 돌아감을 체감했다. 처음에는 시청 지속시간만을 지표로 삼으면서 영상을 분석하였으나, 결국 알고리즘의 픽을 받는 것은 이탈율 수치도 좋은 비디오를 밀어줌을 체감한다. 사실 들어본적도 있고, 그냥 그렇겠거니,,설마그러겠어 하면서 영상을 만들었으나, 실제로 이탈율이 적은 비디오를 알고리즘이 더 많이 홍보해주는것을 보니,, '아 이탈율이 정말로 중요하구나' 생각한다. 첫 3초에 더신경을 써보았다. 목소리가 없는 쇼츠여서 그런지 확실히 이탈율이 많아, 캡션으로 이목을 집중시키려고 했는데, 그리 효과적이지는 않았.. 2025. 4. 26.
intro 유튜브 (쇼츠) 를 시작했다.. 3부: 3초룰 (feat. 1달간의 기록) 이전 포스팅 [링크] 에서는 유튜브 쇼츠 도전기 2주차: '유효조회수에 대한 이해' 에 대해 포스팅해보았다. 3주차에 대한 기록을 이어간다. 참고로 나무의 채널은 4부정도에서 알수있으니, 궁금하면 바로 4부로 가면된다 :) 중간에 채널명을 바꾸는 해프닝이 있었다.. 3주차: 3초룰3초룰에 대해서 좀더 심도있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쇼츠의 모든것이라고 할수 있는 3초룰이다. 쇼츠를 하는사람이라면 적어도 한번정도는 들어봤을 3초룰. 즉, 3초안에 시청자를 사로잡지 못한다면 그냥 그영상은 끝이난다. 반대로, 3초안에 시청자를 사로잡는다면, 웬만하면 시청자들이 그 영상을 끝까지 시청한다는 것이다. 이말은 즉슨 영상의 첫 3초에 모든것을 갈아 넣어야 한다는 뜻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2주차 까지 나무의 영상의 .. 2025. 4. 25.
intro 유튜브 (쇼츠) 를 시작했다.. 2부: 유효조회수에 대한 이해 (feat. 1달간의 기록) 이전 포스팅 [링크] 에서는 유튜브 쇼츠 도전기 1주차: '바보같은짓의 연속' 에 대해 포스팅해보았다. 2주차에 대한 기록을 이어간다. 참고로 나무의 채널은 4부정도에서 알수있으니, 궁금하면 바로 4부로 가면된다 :) 중간에 채널명을 바꾸는 해프닝이 있었으므로..2주차: 유효조회수에 대한 이해아무런 생각없이, 아무런 전략 없이, 그냥 내가 쿨하다고 생각되는 영상들을 올리다보면, 그.래.도. 어떤 영상들은 다른것들에 비해 조금더 조회수가 잘나오고, 조금더 좋아요수가 많은 경우가 무조건 생긴다. 그러다보면, 무지성 업로더인 본인도 생각하게 된다. '왜 이 영상들은 더 많은 조회수가 나올까?' 단순히 알고리즘이 운좋게 걸려서? 2주차에 되어서야, '유효조회수' 라는 것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유튜브 파트.. 2025. 4. 23.
반응형